https://www.youtube.com/watch?v=TvGAHpGJcDU
안녕하세요?
오늘로서 184일 아가인 찰떡이는 어제부터 자기주도 이유식을 시작했어요. 아직 음식보다 그릇 밑바닥이 더 궁금해서 음식을 다 엎어버리지만(이후 서술할 원더윅스에서 얻을 수 있는 능력입니다.) 다시 줄 때마다 점점 더 음식을 잘 먹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요.
찰떡이가 6개월이 되기 약 이주 전 부터 6개월 아기는 어떤 일을 겪고 있는지 알기위해 틈틈히 육아서를 읽었어요. 지금까지의 경험으로 미루어봤을때 찰떡이가 또래 아이들보다 약간 더 빠른 속도로 발달하고 있는 것 같아 2주 정도 미리 읽기 시작했어요. 요즘은 그래두길 정말 잘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정확히 6개월이되기 일주일 전부터 원더윅스에 접어든 것 처럼 보였기 때문이에요.
/ 원더윅스란(Wonder weeks)?
제가 참고한 책 '엄마, 나는 자라고 있어요'에서는 원더윅스를 '도약'이라는 단어로 표현합니다. 아기가 정신적으로 발달하며 새로운 능력을 얻는 시기를 말하는데요, 보통 이 시기에 더 많이 울고 보채기 때문에 양육자들이 정말 힘들다고 느끼는 시기에요.
모든 아기들은 기질에 상관없이 거의 같은 월령에 이런 도약을 맞이한다고 합니다. 정도의 차이일 뿐이지요. 아이가 20개월이 되기 전까지 약 열 번의 도약시기를 거친다고 해요. 산술적으로는 두 달에 한 번 꼴인거죠. 편해질만 하면 찾아오는 원더윅스때 아이들은 어떤 모습을 보일까요?
1. 엄마에게 붙어 있기
2. 울기
3. 칭얼대기
4. 기타 등등..
어제까지 잘 놀던 아이가 갑자기 칭얼대고 보채고 울어서 하루종일 아이에게만 집중해야한다면 아이가 아무리 사랑스러워도 양육자들은 지치기 마련이죠.. 왜 이럴까? 어디 아픈 것은 아닐까? 마지막엔 아이가 나를 지치게하려고 일부러 이러는건가?하는 이성적이지 않은 생각마저 들면서 화가나기 시작하지요.. 저도 이 책을 통해 아이가 어떤 일을 겪고 있는지 미리 알아두지 않았더라면 몸이 지치니 마음도 지쳤을 거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미리 공부를 하니 '찰떡이가 새로운 능력을 습득하려고 정말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이구나. 내가 이 원더윅스가 끝날 때까진 열심히 곁에 있어줘야지.'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물론 이렇게 마음을 먹어도 힘들때는 짜증이 날 때도 있긴 하지만요^^
원더윅스땐 정말 힘들지만 이 도약의 시기가 끝나고 나면 아이는 그 전엔 하지 못했던 일을 하고있어요. 그 것을 관찰하는 것도 나름의 재미가 있지요. 하지만 아이들이 새롭게 얻는 능력의 정도는 오늘 옹알이하다가 갑자기 내일 엄마아빠를 말하는 정도가 아니에요. 아~웅얼웅얼 정도의 옹알이를 하다가 '므, 브, 프' 혹은 입으로 푸우우 하며 침튀기는 소리를 내는 투레질을 할 수 있게 되는 등 미리 알아두고 자세히 관찰하지 않는다면 알아채지 못할 정도의 발전일 수 있어요. 그래서 저는 육아서를 읽는 것을 좋아해요. 특히 '엄마, 나는 자라고있어요'는 아이들이 얻게 되는 능력에 대해 굉장히 세세하게 나열해놓고 있기 때문에 '아 곧 있으면 이런 것도 할 줄 알게 되는구나~ 정말 기대된다. 잘 관찰해봐야지^^'하는 생각을 하며 재미있게 읽고 있어요.
/ 6개월 아기, 다섯 번째의 원더윅스를 겪어요.
아이들은 생후 6개월 전후(25~27주째) 다섯 번째 원더윅스를 겪습니다. 각 원더윅스마다 지속되는 시간이 있는데, 이번 원더윅스는 4주 정도 지속되는 긴 원더윅스네요. 하지만 아기에 따라 일주일 만에 끝날 수도 있고 5주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고 해요. 이번 도약이 끝나면 아기는 주변을 '연관'시켜 지각하고 파악할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이런 도약이 가까워진다는 것을 아기는 5~6개월 사이(22~26주)에 느낀다고 해요. 찰떡이는 24주 후반부터 낮잠을 재우면 혼자 잘 안자고 등에 업혀서 자려고 했어요. 평소에는 수면교육을 통해 혼자 아기침대에 누워 모빌을 보며 잠들었는데 말이죠. 그래서 원더윅스가 오고있나? 생각하게 됐어요.
원더윅스를 겪는 아기는 자기가 이전까지 알고있던 세계가 전부 뒤죽박죽처럼 느껴지는 혼돈의 카오스 속에 있기 때문에 자신이 잘 알고있는 대상인 엄마에게로 가서 안정을 찾고자 합니다.
1. 잠을 잘 자지 않는다. 낮잠이든 밤잠이든..
2. 악몽을 꾼다
3. 낯을 가린다
4. 더 많은 관심을 요구한다
5. 신체접촉을 중단하려 하지 않는다.
6. 잘 먹지 않는다.
6. 옹알이가 줄어든다.
7. 씻기를 싫어한다.
8. 인형을 만지작 거린다.
9. 엄지손가락을 (더 많이) 빤다.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아이가 혼란스러움을 느끼고 있다는 증거라고 해요. 찰떡이는 이 중 1, 2, 3, 4번의 행동을 관찰할 수 있었어요.
/ 원더윅스가 지나가고 난 아이는?
생후 7~8개월(30~35주)가 되면 일반적으로 아기들은 도약의 시기를 끝내고 평온한 시기를 맞이합니다. 사물과 사물 사이의 '관계'를 인식하게 된 아기는 그 관계를 가지고 노는 능력이 생기는 것이죠. 이 도약의 시기에 아이들마다 관심있어하는 관계 영역이 다 다르기 때문에 잘 관찰한 후 그에 맞는 도움을 준다면 그 능력을 더 끌어올릴 수 있겠지요. 원더윅스가 지나가고 난 아기들이 일반적으로 가질 수 있는 능력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장난감을 엉뚱한 데로 밀어넣는다.
2. 사물을 뒤집어엎는 것을 재밌어한다.
3. 안에 뭔가 들어 있는 물건을 좋아한다.
4. 장난감을 분해하려 한다.
5. 어떤 물건이 다른 물건 속으로 사라지는 것을 재미있어 한다.
6. 짧은 문장과 몸짓을 이해한다.
7. 단어나 몸짓으로 말하기 시작한다.
8. 좋아하는 그림책이 있다.
9. 춤추고 노래한다.
10. 혼자 힘으로 앉을 수 있다.
11. 혼자 일어설 수 있다.
12. 잡아주면 걷는다.
이 능력들의 대부분을 얻으려면 도약에 들어가 몇 주 혹은 여러 달이 지나야 가능하기 때문에 왜 우리 아이는 이런 것을 하지않지?라는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돼요. 아기는 소질과 관심과 신체구조와 체중에따라 적당한 선택을 하기 때문이에요. 현재 찰떡이는 184일이 되었지만 뒤집기를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위 능력 중 2, 10, 12번을 할 수 있지요. 영유아 검진에서 찰떡이가 아직 뒤집지 않는다고 말씀드렸더니 의사 선생님께서 '뒤집는 것에 아직 관심이 없어서 그래요~'라고 대답해주셨습니다. 여기서 책으로 공부한 육아가 정말 도움이 되는구나 한 번 더 느끼고 왔어요. 애 by 애라는 말이 있듯이 우리 아이들은 각자 나름의 관심대로 잘 크고 있는 중일거에요.
/ 이번 도약시기에 양육자가 도와줄 수 있는 일
1. 아이가 마음대로 기어다닐 수 있도록 하라.
2. 엄마가 사라져버리는 게 아님을 알게 해줘라.
3. 엄마를 따라오는 방법을 가르쳐줘라.
즉 아이가 주변 세계를 마음껏 관찰하고 탐색할 수 있게끔 안정적인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어딘가로 이동할 때도 무엇을 하러 가는지 설명해주거나 계속 목소리를 들려주는 등 눈에 보이지 않아도 가버리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시켜주는 것이죠. 기어다닐 수 있는 아기라면 엄마를 따라 기어다니며 안심하고 노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것이에요. 엄마의 껌딱지라고 불리는 시기가 시작된 것입니다. 아이가 대체 왜 이러는지 이유를 몰랐다면 지치고 화가 났을텐데 아이가 위와 같은 능력을 갖기 위해 열심히 배우고 발전하는 중이라 알게되니 아기의 모든 행동이 경이로워 보이기까지 하네요!
제가 오늘 포스팅한 내용은 '엄마, 나는 자라고 있어요.'의 내용을 대략적으로 정리하여 서술한 것이에요. 책 안에는 아이가 구체적으로 어떤 능력을 가질 수 있는지 자세히 서술되어있고, 이를 도와주기 위해 양육자가 할 수 있는 도움들과 놀이들이 많이 소개돼있어요. 하루종일 아이보느라, 육퇴 후엔 밀린 집안일을 하느라 몸도 마음도 지쳤겠지만 다가오는 내일 더 새로운 능력을 보여줄 우리 아기를 맞이하는 마음으로 책 한 줄 읽어보면 어떨까요?
오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됐길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총총.
'주저리주저리 > 육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7개월 아기 육아 공부 [김수연의 아기발달백과 / 아기를 이해하는 것이 육아의 힘!] (0) | 2021.07.07 |
---|---|
유기농 식재료가 아이에게 좋을까? [ 6개월 아기 이유식 관련 / 자연드림에 가입하게 된 이유 ] (0) | 2021.06.28 |
5개월 아기 육아 공부[feat. 베이비 위스퍼 골드 / 언제나 내돈내산] (0) | 2021.05.19 |
모유수유 성공기 2 [5개월 완모ing / 젖양 늘리는 방법 실천 결과] (0) | 2021.05.07 |
모유수유 성공기 1 [4개월 완모ing / 모유수유를 하게 된 계기] (0) | 2021.05.06 |